본문 바로가기
부동산

🔍 "재개발 없이 주거지 정비 가능?" 쌍문동 모아타운 관리계획 핵심 요약!

by 율구슬 2025. 7. 24.
반응형

🏘️ 모아타운이란? 쌍문동도 지정됐다!

서울시 도봉구 쌍문동 494-22, 524-87번지 일대가 ‘모아타운 관리지역’으로 지정되었습니다.
2024년 10월 17일 서울특별시 고시 제2024-491, 492호를 통해 공식적으로 확정되었으며,
해당 지역은 노후·과밀 저층주거지로서 향후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이 집중적으로 추진될 예정입니다.


📌 쌍문동 모아타운 관리계획 보고서 요약

✅ 지정 배경

  • 무분별한 저층주거지 개발 방지
  • 기반시설 부족 & 정비 한계 극복
  • 소규모정비 관리지역 제도 활성화 (2021년 2·4 대책 도입)

✅ 계획 목적

  • 소규모정비사업의 실현 가능성 제고
  • 공공성과 사업성을 모두 확보한 정비 유도

단계별 기반시설 및 공동이용시설 확충

 


🗺️ 대상지 개요 및 범위

구분 위치 면적 용도지역
구역1 도봉구 쌍문동 494-22 일원 37,319.8㎡ 제1·2종 일반주거지역 (7층 이하)
구역2 도봉구 쌍문동 524-87 일원 83,526.0㎡ 제1·2종 일반주거지역 (7층 이하)

🔎 슈퍼블록(보행권 기반 분석)을 중심으로 계획 범위가 설정되었고, 주변은 우이천·덕성여대·쌍문근린공원 등이 위치합니다.

 

 

 

 


📊 주요 현황 분석

🏚️ 건축물 노후도

  • 구역1 : 76.7% 노후불량 건축물
  • 구역2 : 83.2% 노후불량 건축물
  • 전체 구역의 80% 이상이 재건축 수준의 노후 주택

🧓 독거노인 비율

  • 쌍문동 가구 중 약 15.3%가 독거노인가구
  • 복지·안전망 필요성 높음

🚘 주차 & 교통

  • 불법 주정차 다수 발생
  • 보행자 통행환경 매우 열악

🛠️ 향후 추진계획

💡 사업 추진 현황

  • 총 7개 구역, 모두 가로주택정비사업 추진 중
  • 주민 동의서 징구 단계

📐 정비 방향

  • 보행권 기반 슈퍼블록 단위 정비
  • 공공임대주택 공급 포함
  • 녹지 및 수변 접근성 강화

👍 장점 vs. 단점

장점 단점
✓ 사업 활성화된 구역 (SH공사 공공관리 참여) ✗ 과밀 노후화로 사업 기간 장기화 우려
✓ 백운시장, 우이천 인근 쾌적성 ✗ 기반시설 및 주차 공간 부족
✓ 교육환경 우수 (덕성여대, 효문고) ✗ 용적률 제한 등 규제로 사업성 저하 가능

👩‍👩‍👧‍👦 어떤 분들께 추천할까요?

  • ✅ 노후 단독·다세대주택 소유자
  • ✅ 재개발 추진이 어려웠던 주민
  • ✅ 소규모정비사업에 관심 있는 투자자
  • ✅ 고령층 독거세대 (향후 복지시설 확충 예정)

📌 결론: 준비된 자만이 혜택을 누린다!

쌍문동 모아타운은 이미 다수 구역에서 사업이 시작되었으며,
관리계획 수립이 곧 지정과 사업화의 핵심 조건입니다.

👉 실제로 2023년~2024년 동안 주민설명회, 전문가 자문, 통합심의 등
수차례의 절차를 거쳐 이번 최종 고시에 이르렀습니다.
기회를 잡으려면 지금부터 정보를 알고 준비해야 합니다.

반응형